본문 바로가기

MotoGP/MotoGP

RC213V 양산형 준비중인 혼다(6/22 내용 추가)

프랑스의 저널리스트 Baujard에 의하면 Silverstone에서 Nakamoto를 통해 RC213V의 양산형 모델이 준비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CRT의 베이스로 사용하기 위한 V4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전부터 소문으로만 돌던 혼다 양산형 V4가 실현될 전망입니다. 나카모토는 구지 이건 "CRT가 아니고 그냥 양산형 레이스바이크다"라고 하는데 뭐가 다른지요!ㅎㅎ 나카모토는 Baujard와 대화중 렙솔혼다 피트의 RC213V를 가르키며 "이 바이크의 레플리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훨씬 싸다."라고 했다는군요.

기어박스는 일반형이 들어가지만 레브 리미트 도입과는 상관없이 뉴매틱 밸브를 채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뉴매틱 밸브 자체가 훨씬 정확한 밸브 타이밍과 cam shape나 cam profile등에도 좋은 점이 많다고 합니다.

CRT 도입부터 회자됐던 Yamaha TZ, Suzuki RZ, Honda RS 같은 양산형 레이스 베이스 바이크의 부활이 현실화되는듯 합니다.

나카모토는 자세한 일정을 알지만 그 부분은 '곧'이라며 함구했습니다. CRT도 혼다가 직접 관여하면 달라질 것이라는 최근의 인터뷰가 역시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했나봅니다. ART는 긴장해야겠습니다.

ART 엔진의 문제는 내구성에 있습니다. SBK에서 비아지는 작년 13라운드(26경기)에서 무려 28개의 엔진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CRT는 18경기에서 12개의 엔진 밖에 사용할 수 없기때문에 SBK만큼의 파워가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단순히 CRT가 SBK보다 느리다...라고 생각하는 건 정말 몰라서 하는 얘기죠. 물론 다닐로 페트루치의 엔진 출력은 좀 격차가 심하긴 합니다. 어쨌든 엔진의 허용 마일리지 내구성 자체가 다릅니다. (SBK는 4~500km, CRT는 1200km, MotoGP 프로토타입은 2400km 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에 한 번 다루려다가 자료실에 썩고 있는 자료입니다.ㅋㅋㅋ)

혼다는 RC213V로 부터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산 V4의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했다는 얘깁니다.

나카모토가 말하는 곧이 언제일지....기다려집니다.

6/22 추가내용

혼다는 이 바이크를 2014년 MotoGP에 프로토타입으로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CRT엔트리가 아니라고 하네요. 대당 최대 100만유로 선에 판매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리스가 아닌 판매입니다. 

나카모토가 말한 CRT 엔트리용이 아니라는 의미가 확실해졌고 제목처럼 '양산형'이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 됐습니다.^^;;ㅎㅎㅎ

모든 위성팀들이 팩토리로 부터 리스를 통해 머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즌이 끝나면 머신을 반납한다는 것이구요, RC213V의 리스 비용은 약 300만 유로 정도로 알려져있습니다.

과거 NSR500V 역시 이런 형태로 판매되었고 RZ나 TZ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과거 그리드가 풍성했던 이유중에 하나죠. 혼다의 이런 양산-레이스바이크의 공급이 성공을 거둔다면 CRT는 의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전면 CRT에 대해 강경하게 보이콧했던 혼다가 결국 해결책도 제시하는걸까요?

제조사당 4대로 제한하는 룰은 사실상 없어진다는 암묵적 합의가 있었거나 리스가 아닌 판매이기 때문에 공급 숫자에 제한이 없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Moto2의 엔진공급 계약을 따낸 혼다가 이젠 MotoGP도 혼다 바닥으로 만드려고 하나요? 어쨌든 스즈끼, 야마하, 가와사끼에게도 갈 길을 제시하는 선구자적인 역할인지도 모르겠네요. 얼마전 포착됐던 스즈끼의 머신 테스트도 프로토타입이다 아니다 말이 많았는데 RZ의 부활의 몸짓이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내년 프라막 두카티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설도 있구요, 아브라함 역시 두카티와 재계약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두카티가 어떤 가격 조건을 제시하느냐에 달려있는데요...확실한건 4대의 혼다, 4대의 야마하, 2대의 두카티입니다. 물론 로씨가 개인 팀을 만들경우 Dorna가 어떤 방식을 취할지는 변수입니다만...

이미 실버스톤에서 대화가 있었고 이런 혼다의 움직임이 Dorna로서는 반가운 일이죠.

'MotoGP > MotoG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씨의 2013년 거취 이미 결정?!(6/30내용추가)  (2) 2012.06.26
두카티 알루미늄 스윙암 개발 계속 진행  (0) 2012.06.23
Paul Bird 직접 섀시 개발  (0) 2012.06.20
Motegi wild card  (0) 2012.06.19
MotoGP Silverstone  (2) 2012.06.16